기내 서비스, 얼마나 친환경적일까? – 쓰레기 발생 비교와 제로 웨이스트 여행자의 실전 평가
제로 웨이스트 여행을 계획할 때많은 실천자들이 간과하는 구간이 있다.바로 비행기 안, 기내 서비스다.출발 전 검색대로부터 시작해 탑승까지,우리는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고체 치약을 준비하고텀블러와 도시락통까지 챙겨가지만막상 기내에 들어서면기본 제공되는 기내식, 물티슈, 플라스틱 컵, 비닐 포장이말도 없이 테이블 위로 올라온다.나는 지난 1년간 유럽, 일본, 동남아를 오가는총 5개의 항공편을 이용하면서실제로 어떤 항공사가 쓰레기를 가장 많이, 혹은 적게 발생시키는지,그리고 실천자 입장에서 어떤 점이 불편하거나 가능성이 있었는지를 체감해봤다.이 글은 기내 쓰레기 발생량에 대한 비교형 후기이자,친환경 여행자 입장에서의 기내 서비스 평가다.항공사의 이름을 직접적으로 거론하지는 않지만,도시와 노선, 서비스 성격을 ..
2025. 7. 9.
여행 중 무너질 뻔한 제로 웨이스트 실천 – 위기 상황 5가지와 나의 대처법
실천은 매끄럽지 않다.특히 낯선 도시, 낯선 언어, 낯선 문화 속에서는평소에 당연했던 루틴도 무너진다.제로 웨이스트 여행을 하겠다고 마음먹고고체 치약, 도시락통, 텀블러, 손수건까지 다 챙겨 갔지만,막상 현장에서 마주한 상황은내가 예상하지 못했던 ‘실천의 위기’였다.공항에서 생수 한 병을 사야 할지 고민하고,시장에서는 도시락통을 꺼낼 용기를 잃고,기내에서는 쓰레기 되가져오기조차 민망하게 느껴졌다.이 글은 그런 위기의 순간들을 기록한 글이다.완벽하게 실천했다는 성공담이 아니라,실천이 흔들렸던 순간들, 그리고 그때 내가 선택했던 대처법에 대한 솔직한 기록이다.그 안에는포기와 고민, 불편과 타협,그리고 다시 실천을 이어가려는 의지가 담겨 있다. 텀블러 하나로 충분하다고 생각했지만, 여행 중에는 늘 예기치 못한..
2025.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