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로웨이스트 여행38

해외 여행에서 가장 자주 쓰는 제로 웨이스트 도구 TOP 7 – 여행 실천자가 직접 뽑았다 제로 웨이스트 여행을 계획할 때가장 많은 시간을 쓰는 건 바로 짐을 싸는 순간이다.다회용기, 텀블러, 도시락통, 수저, 손수건, 생분해 봉투…각종 도구를 넣고 빼고 다시 넣기를 반복하다 보면짐의 부피는 늘고, 실천의 무게는 가벼워지기도 한다.그런데 진짜 중요한 건많이 챙기는 게 아니라 ‘자주 쓰는 도구’를 정확히 아는 것이다.실제로 내가 해외에서 제로 웨이스트 여행을 하며 느낀 건짐의 절반은 한 번도 안 썼고,몇 개의 도구는 거의 매일 사용했다는 점이었다.그래서 이 글에서는‘챙기면 좋을 것’이 아니라‘실제로 가장 자주 꺼내 썼던 도구 TOP 7’을 정리한다.사용 빈도, 활용성, 공간 효율성, 실천 효과 등여행 실천자의 기준으로 실제 사용 경험에 근거한 도구들만 엄선했다.1위 – 제로 웨이스트 여행 필수품.. 2025. 7. 9.
암스테르담에서 플로깅(쓰담 달리기) 해봤다 – 관광이 환경을 바꾸는 순간 ‘관광은 소비다’라는 말이 늘 마음에 걸렸다.지속 가능한 여행을 실천하려 노력하면서도,비행기에서 발생한 탄소, 포장된 간식, 일회용 도시락, 호텔에서 나오는 쓰레기들을 보면내 여행이 과연 환경에 어떤 영향을 남겼는지 스스로 묻게 된다.그 질문에 스스로 답해보고 싶어2025년 봄, 나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현지 플로깅 프로그램에 참여했다.이 도시는 유럽에서 ‘지속 가능한 도시 정책’을 강하게 펼치는 곳 중 하나로,플라스틱 프리 상점, 다회용기 문화, 지역 기반 환경 프로그램이 잘 조성되어 있다.그중에서도 ‘플로깅’은관광객도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직관적이고 효과적인 실천 프로그램이었다.조깅을 하거나 걷는 중에 쓰레기를 줍는 이 간단한 활동은생각보다 훨씬 강한 체험이었다.도시와 한 걸음 더 가까워지고,내가.. 2025. 7. 9.
코펜하겐 파머스 마켓에서 일회용 없이 장보기 – 제로 웨이스트 여행 실전 후기 해외 여행 중 가장 많은 쓰레기가 발생하는 순간은 언제일까?놀랍게도 정답은 “쇼핑할 때”다.관광지 근처에서 간단히 구입하는 과일 하나, 간식 하나가비닐봉지, 스티커, 플라스틱 용기, 종이 포장지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심지어 “친환경 시장”이라고 불리는 파머스 마켓조차실제로 가보면 일회용 포장을 사용하는 곳이 꽤 많다.그런데 2025년, 나는 유럽 제로 웨이스트 도시 중 하나로 평가받는덴마크 코펜하겐의 파머스 마켓에서도시락통과 장바구니만으로 진짜 일회용 없는 장보기 실천을 해봤다.코펜하겐은 그린 에너지, 플라스틱 제한, 시민참여 시스템이 잘 정비되어 있는 도시다.그만큼 시장도 제로 웨이스트 실천자에게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는 공간이었다.이 글은 코펜하겐 대표 마켓 중 하나인 Torvehallerne.. 2025. 7. 8.
제로웨이스트 여행을 위한 플라스틱 없는 해외 식사, 말로도 가능하다 – 용기 내기와 거절 기술 실전 가이드 제로 웨이스트 실천에서 가장 어려운 순간은 언제일까.도구를 챙기지 않았을 때도, 쓰레기통이 없을 때도 아니다.용기를 내야 하는 그 3초의 순간이 제일 어렵다.음식을 주문하려고 줄을 서 있다.내 앞사람에게 종이포장과 비닐백이 건네지는 걸 보면서도시락통을 꺼내고 싶은데,‘말이 안 통하면 어쩌지’, ‘이상하게 보지 않을까’라는 걱정이 먼저 든다.나 역시 처음 해외에서 실천을 시작할 때,용기를 낸다는 것 자체가 심리적 허들이었다.특히 길거리 음식이나 포장 음식은‘일회용이 당연한 구조’로 돼 있어서거절하거나 대체를 요청하는 것이 더 조심스러웠다.이 글은 그런 상황 속에서어떻게 플라스틱을 거절하고, 다회용기를 사용하는 실천을 이어갈 수 있었는지를 기록한 경험 기반 콘텐츠다.단순히 도시락통을 챙기라는 말이 아니다.어.. 2025. 7. 8.
해외 숙소에서 제로 웨이스트 실천하는 법 – 호텔·호스텔·에어비앤비별 전략 가이드 해외에서 제로 웨이스트 실천을 시도할 때,대부분의 준비는 공항이나 길거리, 식사 공간에서의 행동에 집중된다.하지만 실제로 가장 많은 쓰레기가 발생하는 공간은 숙소 내부다.샴푸, 바디워시, 비닐봉지, 포장된 물품, 쓰고 버리는 종이컵까지하룻밤 묵는 동안 쌓이는 일회용 쓰레기는 꽤 많다.숙소에서는 ‘나 하나쯤이야’라는 생각이 더 쉽게 스며든다.호텔에서 제공되는 어메니티를 무심코 열고,호스텔에서 매일 새 수건을 꺼내 쓰고,에어비앤비 냉장고에 든 일회용 물을 별 생각 없이 마신다.하지만 이 공간에서야말로 가장 조용하게 실천을 이어갈 수 있는 환경이기도 하다.나만의 물건을 사용하는 시간, 쓰레기를 처리할 주체가 나인 공간,무엇보다 외부 시선 없이 나 스스로의 선택에 집중할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이 글에서는 호.. 2025. 7. 8.
유럽 / 일본 / 동남아 지역별 제로 웨이스트 실천 난이도 비교 – 현지 실천 환경 완전 해부 제로 웨이스트 여행은 단순히 도구를 챙긴다고 해서 실현되는 게 아니다.같은 텀블러를 들고 나가도, 어떤 도시는 기꺼이 받아주고어떤 도시는 당황한 표정으로 단호히 거절한다.실천의 난이도는 지역마다 극명하게 갈린다.나는 유럽, 일본, 동남아 지역을 각각 다른 시기에 여행하며제로 웨이스트 실천을 유지해보려 애썼다.같은 도시락통, 같은 손수건, 같은 수세미를 챙겼지만실천의 성공률은 지역마다 크게 달랐고,그 이유는 단순히 문화 차이로만 설명되지 않았다.지역마다 다르게 작동하는 플라스틱 규제, 일회용품 정책, 시민의식, 매장 대응 태도, 쓰레기 수거 시스템 등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실천의 ‘난이도’를 결정했다.이 글에서는 유럽, 일본, 동남아라는 대표적인 여행지 세 곳을 중심으로제로 웨이스트 여행자의 입장.. 2025. 7. 6.